님, 안녕하세요!
AI 트렌드 Bold Flick의 예순 일곱 번째 소식이에요!
아직은 덥지만 그나마 한 풀 꺾인 여름 한 주 잘 보내고 계신가요?
이번 주 뉴스레터도 다양한 이야기로 채웠습니다! 오늘 소개할 내용은 실사처럼 구현되는 오픈 이미지 모델 FLUX.1 Krea, 실시간 가상 세계를 만드는 구글 Genie 3, 그리고 AI가 스스로 판단하는 시대를 여는 GPT-5까지! 기술이 얼마나 빠르게, 그리고 똑똑하게 변하고 있는지 한눈에 확인해보세요! 그럼, 이번 주의 AI 트렌드를 시작합니다~
|
|
|
#Krea #FLUX1 #오픈웨이트 #이미지AI #BlackForestLabs
Krea, 'AI는 부자연스러워?' No!
오픈 이미지 모델 FLUX.1 Krea 공개
|
|
|
<실제 사진 같은 미학과 개발자 친화성…AI 이미지의 새로운 기준> by.VQZ
|
|
|
크리에이티브 플랫폼 Krea와 AI 이미지 스타트업 Black Forest Labs가 AI 이미지의 한계를 뛰어넘는 오픈 이미지 모델 FLUX.1 Krea를 공식 출시했어요. 이번 모델은 기존 AI 이미지에서 자주 보이던 ‘AI 룩’, 즉 왁스처럼 부자연스러운 피부와 흐릿한 배경, 과도한 밝기 등 인공적인 느낌을 벗어나 실제 사진에 가까운 질감과 개성 있는 스타일을 살리는 데 초점을 맞췄어요. FLUX.1 Krea는 다양한 스타일과 상황을 아우르는 엄선된 데이터셋을 활용해 기존 오픈모델들이 반복해서 보여주던 비현실적 얼굴, 반복 색감, 스타일 한계 문제를 적극적으로 개선했어요. |
|
|
특히, 프리트레인 단계에서 시각적 다양성과 세계의 다양한 미학을 충분히 학습한 뒤, 사람이 직접 선호도를 표시한 데이터만을 반영해 ‘의견 있는 미학(opinionated aesthetics)’을 모델에 심었어요. 이 과정 덕분에 인체 표현, 텍스트 렌더링, 색상, 스타일링까지 실제 사용자 취향에 맞는 세밀한 제어가 가능해졌고, 개발자·디자이너 모두 FLUX.1-dev 생태계 내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오픈 웨이트로 배포된 점도 눈길을 끌어요. 실제 사용자 평가에서도 상용 최고 모델에 근접한다는 피드백을 받았고, 앞으로 오픈소스 커뮤니티에서 활용도와 영향력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기대돼요.
Krea와 Black Forest Labs는 앞으로 FLUX 시리즈를 기반으로 더 많은 시각 영역과 개인화, 스타일 믹스를 지원할 계획이에요. 이번 FLUX.1 Krea 출시로 AI 이미지가 ‘딱 봐도 인공지능’이라는 한계를 넘어, 실제 사람과 구분하기 힘든 새로운 비주얼 트렌드의 시작점이 될 전망이에요. |
|
|
#GoogleDeepMind #Genie3 #세계모델 #AI게임 #가상환경생성
Google, 실시간 대화형 세계 모델 ‘Genie 3’ 공개
|
|
|
<720p·24fps로 구현되는 몰입형 환경…AGI 연구의 핵심 발판> by.VQZ
|
|
|
Google DeepMind가 단일 텍스트 프롬프트로 실시간 대화형 환경을 생성하는 차세대 범용 세계 모델 Genie 3를 발표했다. 이 모델은 720p 해상도와 24fps로 동작하며, 사용자가 직접 탐험할 수 있는 몰입형 세계를 생성한다. 환경과 캐릭터의 시각적 일관성은 최대 1분까지 유지돼, 돌아본 장소나 객체도 현실감 있게 재현된다.
Genie 3는 단순한 장면 생성에 그치지 않고, 실제 물리 법칙 기반의 상호작용과 날씨 변화·사물 추가 같은 ‘프롬프트 기반 세계 이벤트’를 지원해 사용자가 즉시 세계를 변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델은 초당 여러 차례 과거 프레임과 경로를 참조해 환경 변화를 실시간 반영한다.
|
|
|
DeepMind는 Genie 3를 단순한 게임·엔터테인먼트 기술이 아닌, AGI(범용 인공지능)로 가는 핵심 훈련 플랫폼으로 보고 있다. 무한한 가상 시뮬레이션 환경에서 AI 에이전트를 훈련시키고, 예측 불가능한 ‘만약의 상황(What-if scenarios)’까지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이번 발표로 실시간 상호작용형 세계 모델이 연구·교육·게임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가능성이 한층 넓어졌다.
|
|
|
#AI #GPT5 # ChatGPT # OpenAI
GPT‑5 드디어 세상에 등장!
|
|
|
<모델을 고를 필요도 없다…이젠 AI가 판단합니다> by.D-Caf
|
|
|
OpenAI가 드디어 GPT-5를 공개했어요. 그런데 이번에는 단순히 성능이 좋아진 다음 버전 정도가 아닙니다. GPT-5는 여러 개의 모델이 하나의 시스템처럼 협업하는 복합형 AI 시스템으로 진화했어요. 우리가 질문을 하면 그 내용에 따라 가장 적합한 모델이 자동으로 선택돼 문제를 해결해주는 구조예요.
예를 들어 언어 처리에는 GPT-4 수준의 모델이 논리나 계산에는 GPT-4o(o3) 같은 고성능 추론 모델이 투입되는 식이죠. 사용자는 별도로 설정할 필요 없이 질문만 던지면 AI가 스스로 조합해서 답을 내놓습니다. |
|
|
GPT-5 뭐가 좋아졌을?
GPT-5는 겉보기엔 조용히 등장했지만, 속은 꽤 많이 바뀌었어요. 우선 답변 속도가 GPT-4 대비 2배 빨라졌고 코딩 작업에서도 큰 개선이 있었어요. 특히 UI 설계, 디버깅, 리팩토링처럼 실무에서 자주 쓰이는 흐름을 훨씬 더 정확하고 유연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됐죠.
대화의 자연스러움도 눈에 띄게 좋아졌어요. GPT가 내 말을 더 잘 따라오고 이전 맥락을 놓치지 않고 연결해서 대답하는 느낌이에요. 짧은 질문만 던져도 알아서 맥락 잡고 길게 설명하지 않아도 바로 캐치해요.
결국 이번 GPT-5는 속도, 정밀도, 실용성 모두를 챙긴 ‘한층 진화한 실전형 AI’라고 볼 수 있어요. |
|
|
앞으로의 방향은?
GPT-5는 단순히 “더 똑똑해진 AI”를 넘어 “AI가 스스로 판단하고 협업하는 시스템”으로 진화했어요. 이제 우리는 모델을 고를 필요도 없고, 복잡한 설정도 필요 없어요. 그저 질문만 잘 던지면, 그 뒤에서 AI들이 알아서 가장 좋은 답을 만들어내는 시대가 된 거죠.
GPT는 이제 하나의 모델이 아니라 AI 팀 전체의 두뇌가 되고 있어요. AI의 진화 다음 라운드는 GPT-5가 열게 될지도 모르겠네요. |
|
|
오늘의 'Bold Flick'은 여기까지!
다음 뉴스레터에서는 더욱 놀랍고 흥미로운 AI 소식으로 찾아뵐게요.
언제나 Bold Flick을 사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궁금한 점이 있거나 더 알고 싶은 주제가 있다면 언제든 말씀해 주세요.
여러분의 피드백이 저희에게 큰 힘이 된답니다!
|
|
|
|